탈장이라고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가수 김종국이 운동 중 탈장으로 인해 병원에서 수술 후 입원까지 했던 내용이 방송 프로그램에서 나온 적이 있는데요. 그럼 탈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탈장이란? 복강 내에 있어야 하는 장이 복벽근육이 파열된 틈을 통해 복강 밖으로 탈출하는 것입니다. 디스크의 경우 복강을 감싸고 있는 부위에서만 발생합니다. 주로 앞쪽과 아래쪽 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드물지만 옆구리와 등 쪽에서도 발생합니다. 주로 아랫배 부위에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이 전체 탈장의 90%를 차지합니다.

디스크에 걸려도 모르고 생활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디스크가 생겨서 몇 년째 방치되어 있는 분도 계십니다. 디스크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하면, 그 부위가 크게 부풀어 오른다.· 서서 활동하면 부풀어올라 누우면 없어진다·만지면 푹신푹신 구르륵 소리가 나거나 배에 쏙 들어온다.·가끔 디스크가 나오면 뻐근한 증상이 발생한다.
위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탈장의 확률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로 확진을 받아 주십시오.

탈장의 종류 탈장은 부위에 따라서는 서혜부 탈장, 대퇴부 탈장, 탯줄탈장, 절개반흔 탈장, 요탈장, 골반부 탈장, 횡격막 탈장 등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탈장은 아랫배 부위에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입니다.
서혜부탈출증은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오른쪽에 많이 발생합니다.대퇴부 탈장의 경우는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골반 주위의 근육이 약해져서 발생합니다.탯줄탈장의 경우 선천적으로 생기며 배꼽 주위의 약해진 부위를 통해 발생하며, 대체로 생후 2세가 되기 전에 대부분이 없어지거나 계속 존재하여 2cm 이상인 경우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탈장의 원인, 탈장의 원인은 크게 국화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복압이 높거나 또는 근육이 약해지거나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복압이 높은 경우, 만성 기침, 변을 볼 때, 지나치게 힘을 주는 습관, 무거운 것을 자주 드는 직업, 복압이 오르는 운동을 많이 하는 경우, 복부비만만만
- 2. 근육 약화, 나이에 의한 근육 약화, 과도한 흡연으로 인한 근육 대사 과정의 영향, 비타민 결핍, 영양 실조

탈장통증→탈장이 된 경우 특별한 통증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 부위가 공 모양으로 튀어 나와 버리는 증상이 있을 뿐이므로, 너무 대충 되어 버리게 됩니다. 하지만 갑자기 심한 복통이 일어나고 구토 증상이 일어나 내원했을 때 장기가 붓고 괴사하는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불쾌감이나 통증이 없으면 치료를 미루면 합병증으로 고생할 수 있으므로 즉시 치료를 권장합니다.
탈장의 자연치유 탈장은 자연치유가 되지 않습니다. 복벽 근육이 찢어졌기 때문에 복강 밖으로 장이 들락날락하게 되어 버립니다. 수술을 통해 치료를 해야 합니다. 통증이 없다고 방치하면 더 큰 병을 키우는 꼴이 되므로 자연 치유에 대한 기대감은 버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