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신한금융투자 오강호 / 이병화 / 정민구 / 황성환 / 손지연 / 심원영 / 박형우 (2022.01.10)
자율주행/전체 길이: Eure Car (유레카: 뜻밖의 발견+자동차)
I. 자율주행 시대의 도래에 따른 미래 모빌리티 산업1) 자율주행 Level은 어디까지 왔을까.

- 무인택시, 무인버스, 자차사업화 등 다양한 비즈니스 – 2035년까지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이 연평균 40.2% 성장 전망 – 상용화 필수조건은 안전성/효율성
- 2) 자동운전 전환 → ① 전장 수요 ② 데이터 송수신량의 송수신량 증가

레벨 4, 레벨 5 이상에는 최소 25개 이상의 센서가 탑재!센서, 제어기 등 전장 부품의 탑재량이 크게 증가. →전장산업 속도 가속화 전망-자동차 데이터, 인프라 송수신 데이터도 동반 증가. →센서, 인프라 확장 전망
3) 패러다임 변화 → 밸류에이션 릴레이팅 – 관련 카테고리 : 부품, 소프트웨어, 인프라 – 카메라 모듈의 경우 기존 스마트폰 및 차량 판매대수에 따른 실적 성과가 주를 이루었다면, 향후 전장 고객사 매출 비중 늘어날 듯 (관련기업 : 세코닉스(21.9.23IBK김은호 아날/22.1.7 신한 )) 향후에는 전장 고객사 매출 비중 늘어날 듯 (관련기업 : 세코닉스(2.19.23I BICW MICW Anel 참조) – 22.17 신한 박·고민 회사 완성업체 매출비중 완성 – Unel S/SW M&Anel S/SW MICW MICW M
II. 해외업체 자율주행 개발현황 1) 테슬라 : 완전 자율주행차 (딥러닝 AI 기반시스템) 기반 부가서비스 (구독서비스, 로보택시, 인포테인먼트, 보험 등) 웨이모 : 카메라, AIS/W, GPS, 라이더, 레이더를 이용한 최초의 무인주행차 (미국 샌프란시스코 로보택시 운영중3)

III. 현대자동차그룹의 모빌리티 혁신1) 탈탄소화 청사진 수립

2) E-GMP 기반 전기차 라인업 확장-E-GMP: 배터리, 모터, 차체, 섀시로 구성-현대기아차 21년 111월 친환경차 판매 65.6만 대.전체 판매량의 10.7%(10%대 신규 진입) 판매 대수로 YoY 45.3% 증가-전기차 판매 목표 2022년 22만 대. 26년 170만대 제시(기존 100만대에서 증가)


3) 해외시장 공략 본격화 – 유럽 : ‘유로7’, ‘피트포 55’ 시행에 맞춰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 전기차) 판매 확대 – 미국 :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절반을 전기차 ※ 유럽 북미지역 기존 공장 : 내연기관차 생산비중이 절대적. (현지생산을 통해 친환경차 정책보조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적극적인 EV 생산여력 확대 예상.- 인도: 글로벌 자동차 5위 시장. 보급률은 낮고 성장 가능성이 큰 지역. (EVM/S 1% 미만) – 아시아태평양 지역: 2022년 초 인도네시아 완성차 공장 가동. ● AFTA로 인해 아세안 회원국에 무관세 수출 가능.
IV. 자율주행 인프라1) 정부 주도 인프라 건설-양방향 통신 인프라 구축에 초점. V2X(Vehicle to Everything). – C-V2X 선호도도 높을 것으로 예상. – V2X 사이버보안 시장도 커질 것 같아.


민간 주도의 인프라 건설 – 위성에 의한 인프라 구축의 전개.대표적인 것은 테슬라의 스타링크 위성.(현재 21개국 시범 서비스 중)

- 자율주행 밸류체인 *

자율주행, 전장투자 유망종목 List – 소프트웨어 : 현대오토에버, 오비고, 유니퀘스트, 롯데정보통신 – 하드웨어 : 세코닉스, 대덕전자, 켐트로닉스, 해성디에스
- 이 게시판은 절대 투자 추천이 아닌, 제가 공부하기 위해 정리, 요약한 글입니다.*
-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현대오토에버